비즈니스(27)
-
관료화된 조직이 필요할 때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전환되면서 기업 등 대규모의 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거대 조직이 들어섰다. 관료제가 이론적으로 정의된 것은 이때쯤인 것으로 이야기하는데, 독일의 사회학자 Max Weber는 엄격한 위계질서와 분업화, 전문화 등으로 이 개념을 정의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지식 기반 산업이 생겨나면서, 아이디어와 창의성을 중시하는 탈관료주의적 조직이 등장하고 있다. 과연 관료주의와 탈관료주의 중 무엇이 좋은 조직 구조일까? 연말 송년회 행사를 준비하다 며칠 전 내가 기획팀의 일부로 있었던 연말 송년회 및 홈커밍 행사가 열렸다. 이 행사는 코로나 이후 몇 년간의 공백기 끝에, 인수인계 없이 0부터 시작했던 행사였고, 기획팀 모두 대형 행사의 준비 경험이 많지 않았다. 기획팀은 총 9명으로 구성..
2023.12.15 -
[디캠프 프리디데이] UNMET NEEDS, 미충족 수요
2023년 12월 2일 프리디데이 X SNU MEDICINE 스타트업 데모데이 행사에 참관한 것에 대한 회고록을 적어 보려고 한다. 프리디데이는 디캠프(D.camp) 은행권청년창업재단에서 운영하는 스타트업 데모데이로, 12월의 디데이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SNU Medicine)과 콜라보레이션으로 진행되었다. 최초의 의사 출신 VC로 알려진 IMM 인베스트먼트 문여정 상무님의 스타트업 강연 1시간 정도, 그리고 본선 진출한 5팀의 IR과 심사가 이루어졌다. 선정된 팀에게는 입주 공간, 최대 3억 원의 투자, 사업 협력 및 제휴 혜택이 주어진다고 한다.IMM 인베스트먼트는 국내 Top 10 안에 드는 하우스 중 하나이다. 의료 쪽 기업으로는 셀트리온, 루닛 등에 투자하였으며, 직방, 무신사, 패스트파이브 ..
2023.12.03 -
아이덴티티와 수익성 사이의 저울질
얼마 전, 프로젝트 팀원과 함께 서울대학교 창업지원단에서 멘토링을 받고 왔다. 서울대학교 창업지원단(https://startup.snu.ac.kr/)에서는 예비 창업자 혹은 업력 3년 이내의 초기 창업팀을 서울대학교 재학 여부와 무관하게 멘토링해 준다. 멘토는 창업 관련 지도 경험이 풍부하신 교수님이셨으며, 약 1시간 가량 멘토링을 받았다. 멘토링은 내가 생각했던 방향과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나는 멘토님께서 우리의 사업 계획서에 대해 자세하게 읽어보시고 우리가 왜 이런 일을 하고 있는지 하나하나 뜯어보신 후 멘토링을 해 주실 줄 알았다. 하지만, 우리 사업계획서를 제대로 읽어보시기는커녕 며칠 밤을 새서 구체화한 비즈니스 모델에 관해서는 "지금 너희에게 중요한 건 이런 숫자놀이가 아니다"라고 말..
202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