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케이드 Cascade

캐스케이드 Cascade

  • Cascade (130)
    • 비즈니스 (26)
      • 헬스케어 (12)
      • 창업 (7)
      • 벤처투자 (7)
    • 독서 (10)
    • 머신러닝&딥러닝 (41)
      • 인공신경망 기초 (4)
      • CNN (5)
      • RNN (2)
      • GNN (3)
      • Transformers (1)
      • 생성모델 (16)
      • Explainability (0)
      • 비지도학습, 준지도학습 (3)
      • OCR (2)
      • 영상처리 (4)
    • CS (36)
      • 자료구조 (19)
      • C언어 (2)
      • 논리설계 (3)
      • python 라이브러리 (1)
      • 코딩연습문제 (8)
      • git (3)
    • 의학 (7)
      • 연구 (1)
      • 신장요로 (1)
      • Neuro (4)
    • CompBio (0)
    • 재테크 (5)
      • 주식 (4)
      • 경제 (1)
    • 기타 공부 (2)
      • 수학 (2)
    • 생각, 회고 (3)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캐스케이드 Cascade

컨텐츠 검색

태그

VC 인공지능 프로그래머스 KIMES 파이썬 c언어 머신러닝 연결리스트 링크드리스트 AI 알고리즘 자료구조 백준 의료기기시장 창업 컴퓨터과학 이진트리 생성AI 스택 스타트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의학/신장요로(1)

  • 광학현미경으로 본 사구체의 병변 소견

    정상 신장 구조 신장은 길이 약 11cm, 무게 약 120~170g의 여과 기관으로, urine을 생성한다. 신장은 피질(cortex)와 수질(medulla)로 구분되며, 사구체(glomerulus)는 피질에 존재한다. 피질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조물이 존재한다. 사구체(glomerulus) 세뇨관(tubule) 간질(interstitium) 혈관(blood vessel) Nephron Unit 네프론은 한쪽 신장에 약 100만 개 존재하는, 신장의 기능적 기본 단위이다. 신소체(말피기소체/renal corpuscle), 세뇨관, 집합관을 합쳐 네프론이라고 이른다. 정상 사구체의 현미경 구조 사구체는 일반적으로 여과를 위한 혈관의 덩어리를 말한다. 사구체는 (1) Glomerular capillary 와 ..

    2024.04.12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