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4)
-
창업인재란 무엇인가?
그동안 회사에서 세션 준비로 너무 바빠 글을 못 쓰고 있었다. 어제 아침 세션을 잘 마무리하고, 이제 인턴 연수기간 종료도 2일밖에 남지 않았다. 계약서 쓰던 게 어제 같은데 시간이 정말 빠른 것 같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인턴 기간 동안 창업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많이 배운 것 같아 도와주신 선배 심사역 분들께 감사드린다. 이번 글은 어제의 세션 주제였던 [창업 인재란 무엇인가] 에 대해 적어볼까 한다. 창업인재를 초기에 알아보고 속도감 있게 투자하는 일은 VC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다. 성공적으로 엑싯한 팀의 대표나, 너무나도 회사를 잘 운영하고 있는 대표들의 경우 사후적으로 창업 인재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겠지만, 이를 투자받기 전의 극초기 창업 팀일 때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좋은..
2024.02.01 -
변위와 속도
오전에 심사역 8분과 함께 두 개 스타트업의 IR을 참관하였다. 두 회사는 모두 우리 VC에서 한 차례 투자를 받은 상태였고,후속 투자 유치를 위해 6개월 정도가 지나고 다시 한번 피칭 덱에 섰다. 두 시간 가량의 IR이 끝나고, 두 스타트업에 대한 심사역들의 평가의 시간이 있었다. 심사역들의 반응은 엇갈렸는데, 첫 번째 회사는 2명을 뺀 나머지 모두가 후속투자에 반대했고, 두 번째 회사는 모두가 후속투자에 찬성하였다. 6개월 전에는 두 스타트업이 모두 매력적으로 보였기 때문에 초기투자를 했을 텐데, 6개월이 지난 지금 왜 평가가 엇갈렸을까? 많은 심사역들은 고민의 깊이에서 나오는 팀의 속도를 꼽았다. 첫 번째 회사는 초기투자 당시 좋은 아이템으로 현실적인 KPI를 설정하여 열심히 달리는 것처럼 보였었는..
2024.01.18 -
의대생인 내가 왜 VC 인턴을 하는지에 대해
의대생으로서 내가 왜 VC 인턴을 하는지에 대해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으로 적어 보려고 한다. A: 창업을 하고 싶은 네 마음은 알겠다. 그렇다면 직접 하면 되는 거 아닌가? 직접 시도해보고 깨지더라도 다시 일어서서 실패를 통해 배웠던 창업가들이 성공했다. VC 인턴은 투자를 배우기 위해 하는 경우가 많은데 왜 선택했는가? 나: 의대생으로서의 특수성이 작용했던 것 같다. 의대생 혹은 의사 창업에서 시간은 내 편이 아니다. 의사의 커리어에는 집중해야 하는 순간들이 존재한다. 국시 준비를 해야 할 때, 인턴과 레지던트 등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시행착오를 했다가는 다시 일어설 수 없는 불가역적인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해 굉장히 많이 고민했다. 가장 좋은 방법은..
2023.12.21 -
스타트업을 밸류에이션 하는 방법
투자를 받기 전의 스타트업은 대기업과 달리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자본이 많다. 이를테면 창업자의 포텐셜, 아이템의 유망성 등 정량화하기 어려운 자본 말이다. 일반적으로 VC에서 seed 투자를 할 때 10% 내외의 지분 확보를 목표로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면 현재의 기업가치를 얼마로 평가하기에 10% 지분에 해당하는 비용만큼을 투자하는 것일까? 이번 글에서는 엑셀러레이터 VC에서 인턴을 하면서 배운, 스타트업 밸류에이션 방법에 대해 적어보려고 한다. 전통적인 방식 이익이 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대기업의 가치평가를 할 때 사용하는 PER 등의 수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영업이익 x PER, 혹은 매출액 x PBR 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러한..
202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