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8)
-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를 읽고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는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1915 - 2001)의 자서전이다. 가난한 농민 집안에서 태어나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 가문 중 하나를 일궈 낸 정주영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기업을 경영했고, 어떤 철학을 가지고 살아왔는지 궁금하여 이 책을 읽게 되었다. 0. 지금의 대기업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아산 정주영 회장의 자서전을 읽기에 앞서, 소위 "재벌가"라고 불리는 현재 우리나라의 대기업 가문은 어떤 방식으로 생겨나고 성장했는지 알아보자. 각각의 사례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많은 수의 대기업은 [노동집약적 산업] + [정부의 지원] 으로 생겨났다. 1960~1970년대 고성장을 바탕으로 한 한국의 값싼 노동력이 사업의 주요한 원동력이자 해자가 되었다. 노동 기반의 산업을 육성하려는 정..
2024.05.05 -
창업인재란 무엇인가?
그동안 회사에서 세션 준비로 너무 바빠 글을 못 쓰고 있었다. 어제 아침 세션을 잘 마무리하고, 이제 인턴 연수기간 종료도 2일밖에 남지 않았다. 계약서 쓰던 게 어제 같은데 시간이 정말 빠른 것 같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인턴 기간 동안 창업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많이 배운 것 같아 도와주신 선배 심사역 분들께 감사드린다. 이번 글은 어제의 세션 주제였던 [창업 인재란 무엇인가] 에 대해 적어볼까 한다. 창업인재를 초기에 알아보고 속도감 있게 투자하는 일은 VC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다. 성공적으로 엑싯한 팀의 대표나, 너무나도 회사를 잘 운영하고 있는 대표들의 경우 사후적으로 창업 인재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겠지만, 이를 투자받기 전의 극초기 창업 팀일 때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좋은..
2024.02.01 -
변위와 속도
오전에 심사역 8분과 함께 두 개 스타트업의 IR을 참관하였다. 두 회사는 모두 우리 VC에서 한 차례 투자를 받은 상태였고,후속 투자 유치를 위해 6개월 정도가 지나고 다시 한번 피칭 덱에 섰다. 두 시간 가량의 IR이 끝나고, 두 스타트업에 대한 심사역들의 평가의 시간이 있었다. 심사역들의 반응은 엇갈렸는데, 첫 번째 회사는 2명을 뺀 나머지 모두가 후속투자에 반대했고, 두 번째 회사는 모두가 후속투자에 찬성하였다. 6개월 전에는 두 스타트업이 모두 매력적으로 보였기 때문에 초기투자를 했을 텐데, 6개월이 지난 지금 왜 평가가 엇갈렸을까? 많은 심사역들은 고민의 깊이에서 나오는 팀의 속도를 꼽았다. 첫 번째 회사는 초기투자 당시 좋은 아이템으로 현실적인 KPI를 설정하여 열심히 달리는 것처럼 보였었는..
2024.01.18 -
창업에서 집착과 사랑의 차이
집착과 사랑의 차이집착과 사랑의 차이는 뭘까? 연인 사이 자주 일어나는 논쟁의 하나다. 나는 상대방을 너무 사랑해서 한 행동인데, 상대방은 내가 그를 구속한다고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대방에게 집착해야 사랑하고 있는 것이라고 믿는 사람이 있는 반면, 과도한 집착은 사랑이 아니라고 믿는 사람도 있다. 창업에서 "집착"은 좋은 것일까선배 심사역에게서, 창업자와 회사 간에도 집착과 사랑의 관계가 가끔 보인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스타트업 업계에서는 "집착"이라는 단어가 아주 긍정적인 뜻으로 쓰인다. "고객에 집착해라"라는 구절만 보아도 그렇다. 하지만 선배는 집착하는 창업자에 대해 좋지 않은 시선을 가지고 있었다. 진짜 창업자는 일에 집착하지 않고 일을 사랑한다고 한다. 이런 선배의 시각은 내게 새롭고..
2023.12.26 -
RCPS(상환전환우선주) 정리하기
RCPS는 우리나라에서 2023년 현재 벤처 투자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투자 방식이다. 이전 글에서 작성했던 SAFE 방식과 달리, RCPS 방식의 투자는 기업의 현재가치 밸류에이션이 필수적이다. RCPS는 투자자가 아래와 같이 다양한 조건을 계약서에 명시하고 투자를 집행하기 때문에, 투자를 받는 입장에서 계약서를 꼼꼼하게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R(Redeemable): 상환권 C(Convirtible): 전환권 PS(Preferred Share): 우선주 각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자. 상환권(R)이란?상환권은 쉽게 말해서 투자자가 투자금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하지만 이 권리가 항상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상환권 발생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아래 두 가지 조건이 만족되어..
2023.12.23 -
스타트업을 밸류에이션 하는 방법
투자를 받기 전의 스타트업은 대기업과 달리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자본이 많다. 이를테면 창업자의 포텐셜, 아이템의 유망성 등 정량화하기 어려운 자본 말이다. 일반적으로 VC에서 seed 투자를 할 때 10% 내외의 지분 확보를 목표로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면 현재의 기업가치를 얼마로 평가하기에 10% 지분에 해당하는 비용만큼을 투자하는 것일까? 이번 글에서는 엑셀러레이터 VC에서 인턴을 하면서 배운, 스타트업 밸류에이션 방법에 대해 적어보려고 한다. 전통적인 방식 이익이 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대기업의 가치평가를 할 때 사용하는 PER 등의 수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영업이익 x PER, 혹은 매출액 x PBR 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러한..
202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