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4)
-
창업인재란 무엇인가?
그동안 회사에서 세션 준비로 너무 바빠 글을 못 쓰고 있었다. 어제 아침 세션을 잘 마무리하고, 이제 인턴 연수기간 종료도 2일밖에 남지 않았다. 계약서 쓰던 게 어제 같은데 시간이 정말 빠른 것 같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인턴 기간 동안 창업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많이 배운 것 같아 도와주신 선배 심사역 분들께 감사드린다. 이번 글은 어제의 세션 주제였던 [창업 인재란 무엇인가] 에 대해 적어볼까 한다. 창업인재를 초기에 알아보고 속도감 있게 투자하는 일은 VC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다. 성공적으로 엑싯한 팀의 대표나, 너무나도 회사를 잘 운영하고 있는 대표들의 경우 사후적으로 창업 인재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겠지만, 이를 투자받기 전의 극초기 창업 팀일 때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좋은..
2024.02.01 -
벤처기업 RSU 법안 정리
이번 달 2일 벤처기업에서도 인센티브로 RSU를 지급할 수 있다는 법안이 국회에서 의결됐고, 7월부터 시행 예정이라고 한다. 본 글에서는 RSU란 무엇이며, 스타트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정리해볼 것이다. RSU란?RSU는 양도제한조건부주식(Restricted Stock Units)로, 기업이 성과를 달성한 직원에게 자사 주식을 무상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RSU는 직원의 동기부여를 위한 인센티브로 많이 사용된다. 미국 대기업들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는 두나무의 적용 사례가 유명하다. RSU는 신주발행을 통해 주식을 주는 것이 아니라, 구주(자사주)를 나눠 주는 것이다. 나눠줄 자사주가 부족하다면, 회사 자본으로 주식을 매입한 뒤 나눠주기도 한다. 벤처기업 RSU, 무엇이 달라졌을까?기존에..
2024.01.06 -
SAFE 투자 - 밸류는 모르겠고 인재 보고 투자할게요
2020년 말 즈음부터 실리콘밸리에서 자주 쓰이는 투자방법이 있다. 바로 조건부지분인수계약(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이다. https://cascade.tistory.com/10 스타트업을 밸류에이션 하는 방법 투자를 받기 전의 스타트업은 대기업과 달리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자본이 많다. 이를테면 창업자의 포텐셜, 아이템의 유망성 등 정량화하기 어려 cascade.tistory.com 이전 글에서 적었듯이 스타트업의 밸류는 정량화하기 어렵다. 회사의 밸류를 추정할 수 없다면 얼마의 지분이 확보되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시드투자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밸류는 모르지만 놓치기 싫은 창업 인재가 있을 수도 있다면 VC 입장..
2023.12.20 -
스타트업을 밸류에이션 하는 방법
투자를 받기 전의 스타트업은 대기업과 달리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자본이 많다. 이를테면 창업자의 포텐셜, 아이템의 유망성 등 정량화하기 어려운 자본 말이다. 일반적으로 VC에서 seed 투자를 할 때 10% 내외의 지분 확보를 목표로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면 현재의 기업가치를 얼마로 평가하기에 10% 지분에 해당하는 비용만큼을 투자하는 것일까? 이번 글에서는 엑셀러레이터 VC에서 인턴을 하면서 배운, 스타트업 밸류에이션 방법에 대해 적어보려고 한다. 전통적인 방식 이익이 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대기업의 가치평가를 할 때 사용하는 PER 등의 수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영업이익 x PER, 혹은 매출액 x PBR 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러한..
202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