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벤처투자(7)
-
창업인재란 무엇인가?
그동안 회사에서 세션 준비로 너무 바빠 글을 못 쓰고 있었다. 어제 아침 세션을 잘 마무리하고, 이제 인턴 연수기간 종료도 2일밖에 남지 않았다. 계약서 쓰던 게 어제 같은데 시간이 정말 빠른 것 같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인턴 기간 동안 창업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많이 배운 것 같아 도와주신 선배 심사역 분들께 감사드린다. 이번 글은 어제의 세션 주제였던 [창업 인재란 무엇인가] 에 대해 적어볼까 한다. 창업인재를 초기에 알아보고 속도감 있게 투자하는 일은 VC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다. 성공적으로 엑싯한 팀의 대표나, 너무나도 회사를 잘 운영하고 있는 대표들의 경우 사후적으로 창업 인재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겠지만, 이를 투자받기 전의 극초기 창업 팀일 때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좋은..
2024.02.01 -
변위와 속도
오전에 심사역 8분과 함께 두 개 스타트업의 IR을 참관하였다. 두 회사는 모두 우리 VC에서 한 차례 투자를 받은 상태였고,후속 투자 유치를 위해 6개월 정도가 지나고 다시 한번 피칭 덱에 섰다. 두 시간 가량의 IR이 끝나고, 두 스타트업에 대한 심사역들의 평가의 시간이 있었다. 심사역들의 반응은 엇갈렸는데, 첫 번째 회사는 2명을 뺀 나머지 모두가 후속투자에 반대했고, 두 번째 회사는 모두가 후속투자에 찬성하였다. 6개월 전에는 두 스타트업이 모두 매력적으로 보였기 때문에 초기투자를 했을 텐데, 6개월이 지난 지금 왜 평가가 엇갈렸을까? 많은 심사역들은 고민의 깊이에서 나오는 팀의 속도를 꼽았다. 첫 번째 회사는 초기투자 당시 좋은 아이템으로 현실적인 KPI를 설정하여 열심히 달리는 것처럼 보였었는..
2024.01.18 -
벤처기업 RSU 법안 정리
이번 달 2일 벤처기업에서도 인센티브로 RSU를 지급할 수 있다는 법안이 국회에서 의결됐고, 7월부터 시행 예정이라고 한다. 본 글에서는 RSU란 무엇이며, 스타트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정리해볼 것이다. RSU란?RSU는 양도제한조건부주식(Restricted Stock Units)로, 기업이 성과를 달성한 직원에게 자사 주식을 무상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RSU는 직원의 동기부여를 위한 인센티브로 많이 사용된다. 미국 대기업들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는 두나무의 적용 사례가 유명하다. RSU는 신주발행을 통해 주식을 주는 것이 아니라, 구주(자사주)를 나눠 주는 것이다. 나눠줄 자사주가 부족하다면, 회사 자본으로 주식을 매입한 뒤 나눠주기도 한다. 벤처기업 RSU, 무엇이 달라졌을까?기존에..
2024.01.06 -
RCPS(상환전환우선주) 정리하기
RCPS는 우리나라에서 2023년 현재 벤처 투자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투자 방식이다. 이전 글에서 작성했던 SAFE 방식과 달리, RCPS 방식의 투자는 기업의 현재가치 밸류에이션이 필수적이다. RCPS는 투자자가 아래와 같이 다양한 조건을 계약서에 명시하고 투자를 집행하기 때문에, 투자를 받는 입장에서 계약서를 꼼꼼하게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R(Redeemable): 상환권 C(Convirtible): 전환권 PS(Preferred Share): 우선주 각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자. 상환권(R)이란?상환권은 쉽게 말해서 투자자가 투자금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하지만 이 권리가 항상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상환권 발생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아래 두 가지 조건이 만족되어..
2023.12.23 -
의대생인 내가 왜 VC 인턴을 하는지에 대해
의대생으로서 내가 왜 VC 인턴을 하는지에 대해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으로 적어 보려고 한다. A: 창업을 하고 싶은 네 마음은 알겠다. 그렇다면 직접 하면 되는 거 아닌가? 직접 시도해보고 깨지더라도 다시 일어서서 실패를 통해 배웠던 창업가들이 성공했다. VC 인턴은 투자를 배우기 위해 하는 경우가 많은데 왜 선택했는가? 나: 의대생으로서의 특수성이 작용했던 것 같다. 의대생 혹은 의사 창업에서 시간은 내 편이 아니다. 의사의 커리어에는 집중해야 하는 순간들이 존재한다. 국시 준비를 해야 할 때, 인턴과 레지던트 등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시행착오를 했다가는 다시 일어설 수 없는 불가역적인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해 굉장히 많이 고민했다. 가장 좋은 방법은..
2023.12.21 -
SAFE 투자 - 밸류는 모르겠고 인재 보고 투자할게요
2020년 말 즈음부터 실리콘밸리에서 자주 쓰이는 투자방법이 있다. 바로 조건부지분인수계약(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이다. https://cascade.tistory.com/10 스타트업을 밸류에이션 하는 방법 투자를 받기 전의 스타트업은 대기업과 달리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자본이 많다. 이를테면 창업자의 포텐셜, 아이템의 유망성 등 정량화하기 어려 cascade.tistory.com 이전 글에서 적었듯이 스타트업의 밸류는 정량화하기 어렵다. 회사의 밸류를 추정할 수 없다면 얼마의 지분이 확보되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시드투자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밸류는 모르지만 놓치기 싫은 창업 인재가 있을 수도 있다면 VC 입장..
202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