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으로 성공하는 법 (Sam Altman, How to Succeed with a Startup)

2025. 1. 15. 01:39비즈니스/창업

728x90

Sam Altman은 2019년 3월에 OpenAI의 운영에 집중하고자 Y Combinator 사장직을 그만두었다. 이 영상은 Sam Altman이 Y Combinator 재직 시절 남긴 강연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0lJKucu6HJc

 

 

좋은 제품이 우선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주변인에게 추천할 만한 훌륭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 우선이다. 이게 가장 어려우면서도 이걸 이뤄내면 80퍼센트는 된 것이다. 구글, 페이스북 모두 그랬다.

 

무엇이 좋은 제품인가?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제품이 좋은 제품이다.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은 별로 큰일이 아니거나 생각을 제대로 안했다는 뜻이다.

 

또한 스타트업은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을 찾아야 한다. 현재의 TAM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매년 exponential하게 성장하는 시장을 찾아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해야 한다. 이때 트렌드는 진짜와 가짜가 존재하는데, 무엇이 진짜인지는 사용자를 보면 알 수 있다. 초창기 아이폰은 몇 대 팔리지 않았지만, 아이폰의 구매자들은 하루에 몇 시간씩 그것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가짜 트렌드는 2018년의 VR 붐 (물론 현재는 얘기가 다르다) 인데, early adopter들 사이에 그것에 열광하는 분위까지는 없었다.

 

 

열정적이고 확신을 주는 CEO

스타트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열정적인 CEO (Altman은 이것을 Evangelist라고 표현했다)가 필요하며, 팀을 설득하고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야망과 비전이 중요하다. 비전이 커야 일이 재미있어진다.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돕고 싶어지도록 만들어야 제대로 굴러가는 팀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비전은 CEO가 확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물론 CEO의 생각이 100% 맞을 수 없기에, Altman은 Confident but flexible vision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리더의 확신이 있어야 그를 따르는 다른 사람들에게 용기를 심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리더부터가 비전에 확신이 없는 상황에서 우유부단하게 있으면 팀원이 어떻게 용기를 낼까.

 

스타트업은 뜻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특정 문제가 회자의 존망을 결정짓는 상황도 많이 온다. 이럴 때마다 낙관적인 태도로 문제를 풀어가려는 자세가 중요하다. 또한 스타트업은 아예 처음 겪어보는 상황들도 많이 맞이하게 된다. 팀원으로 경험은 없지만 

 

모멘텀

스타트업은 초창기에는 매우 고된 일이다. 그만큼 일에 대한 모멘텀 확보가 중요하며, 모멘텀이 흔들릴 경우 팀이 무너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기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이루어 나가면서 (KPI 등) 팀이 계속 승리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시켜야 한다. 단기 목표를 계속 이뤄 나가면서도 장기적으로 어떤 경쟁 우위를 가지며, 어떤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어떤 시장을 독점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중요하다. 성장 전략이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가 부족한 스타트업은 경계해야 한다.

 

스타트업은 대기업에 비해 아이디어의 승인과 실현 측면에서 유연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더 많은 자유도와 기회가 있다. 특히 커다란 플랫폼 변화 (iPhone moment 등)가 있을 때, 스타트업이 더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점들을 잘 파고들어야 한다.

반응형